유명시인의詩

평시조

동해 갈매기 2022. 8. 11. 05:35

 

                                                                         

                                                                                                      

                                                      고전의 구용 

                                 우리 조상들은 몸가짐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가르치며

                                 배워서 행했는지에 대해 예절을 가르친 소학에 제시되

                                 고 율곡선생이 저술한 격몽요결 에도 인용된 아홉가지

                                 모습이란 뜻의 구용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족용 중[足容重]

                                 발을 옮겨 걸을 때는 무겁게 해야 한다. 그러나 어른의

                                 앞에서 걸어야 할 때 민첩하게 걷는다 이것은 진중해야

                                 지 경망스럽게 움직여서는 아니 된다는 뜻이다 그렇지

                                 만 어른의 앞을 지날 때라든가 어른의 명을 행할 때는

                                 가볍고 민첩하게 해야 할 것이다,

                                                       수용공 [手容恭]                           

                                  손을 쓰잘데없이 놀리지 말 것이며 만일 일이 없을

                                  때는 두 손을 모아 공수하고 공손한 자세로 취해야

                                  한다 공연히 손 장남을 치거나 불필요한 손 놀림을

                                  하는 것은 집중력을 산만하게 하고 상대를 안중에

                                  두지 않은 결과가 되기도 한다

                                                    목용 단[目容端]

                                 눈을 단정하게 곱게 떠서 지긋이 정면을 보아야 한다

                                 곁눈질을 하거나 치뜨거나 남을 노려보거나 하는것은

                                 단청치 못한 눈의 모습이다 그리고 어른을 뵈올 때는

                                 정면 으로 눈을 부딪치지 않게 하고 어른의 눈보다 낮

                                 은곳을 그윽하게 바라보는것이 단정한 눈의모습이된다

 

                                                   구용 지 [口容 止]

                                 입은 조용이 다물어야 한다 입을 헤 벌리거나 쓰잘 데

                                 없이 여러 말을 하는 것은 교양 있는 사람의 입모습이

                                 아니다 해야 할 말만 조용이 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조

                                 용히 다문다 다문다도 해서 힘주어 꼭 다물면 오히려

                                 사나워보인다 자연스럽게 조용히 멈춰있는 상대가좋다.

                                                          성용 정[聖容靜]

                                  말소리는 항상 조용하고 나직해서 잡소리를 내지 않

                                  은다, 성낸 소리나 거친 소리 또는 고함을 지르듯이

                                  말하면 듣는 사람이 불안하고 말하는이의 교양을 의

                                  심하게 된다.

                                                     두용 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들고 몸을 비틀거나 공연히 자세를 흐트

                                  러지게 하지 않은다 머리를 곧게 해야 눈과 시선이 단

                                  정해지고 전체의 자세가 바르게 된다,

                                                         기용 숙[氣容肅]

                                  기운이란 몸 전체의 기상을 말한다 호흡을 조용하고

                                  고르게 하고 전체의 몸가짐을 엄숙하게 한다,거친 숨

                                  소리와 흐트러진 모습은 남에게 업신여김을 받는다,

                                                      입용 덕[立容 德]

                                  서있는 모습은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어디에 기

                                  대거나 삐뜰어지게 서있으면 교양 없이 보인다 여기에

                                  서의 덕[德]은 교양을 의미 한다고 할 것이다,

                                                                색용 장 [色容壯]

                                 색이란 표정을 말한다 얼굴의 표정은 씩씩하고 명랑하며 

                                 발랄 해야 한다   

                                                                효의 실천

                                 효의 실천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부모가 도덕적인 거울이 되어 항상 모범을 보이되

                                 가까운 주변의 쉬운 것부터 실천하도록 가르친다. 

                                                                                  

                                                         시 ㅡ 조

                                                              가 ㅡ 곡

                                              공산에 우는접동 너는어이 우짓는냐

                                              너도 나와같이 무슨이별 하였느냐

                                              아무리 피나게 운들 대답이나 하더냐

                                                        호: : [운애]雲崖

                                                     正音[정음]正歌[정가]

                                                                  평시조ㅡ

                                                                 ㅡ 박효관ㅡ

                                            님그린 상시몽[相媤夢]실솔 [귀뚜라미]

                                            추야 장 깊은 밤에 님의 방에 들었다가

                                            날 잊고 깊이든 잠을 깨워볼까 하노라

                                                         [   풀  이   ]

                                            님 그리다 죽으면 귀뚜라미라도 되어

                                            기나긴 가을 밤 님의 방에 들어가 못다한

                                            사랑 노래를 부르리라

 

                                                    이 고 진

                                                                  [정 ,철]

                                                                     1536ㅡ1593

                                            이고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우랴

                                            늙기도 서러라거늘 짐을조차 지실가

                                                 [조선시대 문인 [송강]

                                                     가사로 유명함

                                                 철   령

                                                                    [정철]

                                           철령 높은곳에 쉬어넘는 저 구름아

                                           고신 원루를 비삼아 띄워다가 님계신

                                           구름 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랴

                                                                 [1536ㅡ 1593]

                                                      조선 선조때의 문신 사미인곡

                                                      성산 별곡등 가사집에 있음

 

                                                            흥 망 이

                                                                   ㅡ원천석 ㅡ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고려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백 설 이

                                                                      ㅡ이색 ㅡ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메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곳에 피였는고

                                            석양에 홀로서서 갈곳 몰라 하노라

                                             [1328ㅡ 1395]

                                            고려말의 학자 조선건국후에

                                             벼슬을 그만듬

 

                                                     덕 [德]

                                                          ㅡ좋은글 중에서ㅡ                                    

                                             덕은 선을 행할 수 있는 힘이요

                                             옳은 길을 갈 수 있는 품성이다

                                             남을 감동 시킬 수 있는 능력이요

                                             인간에서  풍기는

                                             따뜻한 활기와 같은 것이다.

                                             덕이 풍족하면 마음이 넓고

                                             활달해진다.그러므로 덕을 배우고

                                             덕을 닦으며 덕을 쌓도록 지도한다,

                                            " 벤자민 프랭클린" 도 "돈이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덕이 없음을 걱정하라"

                                             하였듯이 덕을 가춘 사람은 절대로

                                             외롭지 않다,

                                                                  

                                               돈돈돈

                                           소중한 물건 [person]을 살수있으나

                                           사람의 마음 [sduse]은 살수 없다,

                                           화려한 집[house]은 살수 있어도

                                           행복한 가정 [home]은 살수 없다,

                                           편리한 시계 [clock]은 살수 있어도                                                

                                           흐르는 시간 [time]는 살수 없다,

                                           지혜로운 책 [hook]은 살수 있어도

                                           결코 지혜 [wisdom]는 살수 없다,

                                           권력,지위 [position]은 살수 있어도

                                           가슴속 존경 [respect]은 살수 없다                                                   

                                           좋은 약 [medicine]은 살수 있지만

                                           평생 건강 [health]은 살수 없다,

                                           귀중한 피 [blood]는 살수 있어도

                                           영원한 생명 [life]은 살수 없다,

                                           쾌락의 섹스 [sex]는 살수 있어도                                      

                                           진정한 사랑[loue] 은 살수 없다,

                                           돈만 가지고는 가장 가치있고 진정

                                           으로 만족스러운 것을 살수 가 없다,

                                           진정한 幸福은 돈에서가 아니라

                                           마음에서 울어 나오는 것입니다,

 

                                                         춤을 추자                                                             

                                               춤을 추자 춤추자 신나는 춤을

                                               경쾌한 음악소리 발을 맞춰서

                                               발놀림도 재빠르게 춤을 춰보자

                                               딱딱따다딱 따닥따닥 따다닥

                                               몸놀림도 가볍게 춤을춰보자

                                               딱딱따다닥 따닥따닥따다닥

                                               하나 둘 셋 넷 셋 넷 둘 둘

                                               천리 길도 한 걸음 불가능은 없다

                                               연습 또 연습 배운 것은 또 연습

                                               하나 둘 셋 넷 셋 넷 둘 둘

                                               연습 위에 또 연습 안 될 것이 없네

                                               보세요 여러분 안 될 것이 없죠

                                               툭탁 탁탁탁 다다닥 툭탁 톡탁탁

                                               따다따다따다닥 닥다닥다따다닥

                                                             눈이 내리네

                                                               ㅡ유종원.ㅡ

                                                      산에는 새 한 마리 날지 않고

                                                     길에는 사람 자취 끊어졌다

                                                     외로운 배에 탄 삿갓 쓴 늙은이가

                                                     혼자서 낚시질하는데 강에는 눈이 내린다,                                                                              

                                                        춘산에 눈

                                                               ㅡ우탁 ㅡ

                                        춘산에 눈녹인 바람 건들불고 간데없다

                                        저근듯 빌어다가 미우우에 불리고자

                                        귀밑에 해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1262ㅡ 1342]                                               

     南北統一
風霜半世紀     풍상반세기
南北爭無解     남북쟁무해
統一謀猷成     통일모유성
共和天下喜     공화천하희

세월이 반세기가 흘렀는데
    남북의 다툼은 화해가 없는가
    통일을 도모해서 이루어지면
         함께 화목해 천하가 기뻐하리라
 

                                                                        청산리

                                                           ㅡ 청수연 해동가요ㅡ

                                                청산리 백개수야 수이감을 자랑말아

                                                일도 창해 하면 돌아오기 어려오니

                                                명월이 만공산 하니 수여 간들 어떠리

                                                       ㅡ우성.ㅡ

                                         소년은 늙기 쉽고 배움은 어려우니

                                         잠간의 시간도 가볍게 알지 말아라.

                                         연못가 봄풀처럼 부푼 꿈 깨기 전에

                                         섬돌 앞 오동잎은 가을 소리 내도다

                                                       ㅡ봄밤.ㅡ

                                         봄날 밤의 값어치는 천금과도 같으니

                                         꽃 있고 향기 있고 달빛 또한 있도다.

                                         잔치로 떠들썩한 노랫소리 그치고

                                         그네 있는 마당에는 고요만이 감돈다.                                          

 

                                                                            등잔 불빛 그림자

                                                           ㅡ동해 김철수ㅡ

                                                            흔들리는 불꽃따라 바람벽이 출렁이고

                                                            마른 잎새의 귀를 달고 웃고있던 눈사람

                                                            함박 눈이 긴 꼬리를 달고 하염없이 내린다

                                                        ㅡ어부

                                           늙은이가  벼슬아치 신세이면서

                                           술 취하면 어부사를 높게 노래하네

                                           일곡은 江海의 생각이 일어나게 하고

                                           이곡은은 이끼 낀 물가 돌에 앉게하고

                                           삼곡은 물에 떠 있어 갈 바를 모르게 한다

                                           힌 모래 여울 위에 가마우지 짝이 되고

                                           붉은 여뀌 물가에 해오라기 함께자네

                                           구름 연기 아득아득 눈 부슬부슬

                                           거울 같은 수면이 바람 일어 무뉘지네

                                           푸른 우장 파란 삿갓에 비 무릅쓰고 떠나고

                                           짧은 노 가벼운 장대에 달 싣고 돌아오네

                                           흥이 나면 한가로이 젓대 한 가락 불며

                                           이따금 창량가로 화답을 하니

                                           몆몆 소리 격렬하여 강기슭에 울리네

                                           갑자기 잊은 듯하여 사방을 돌아보니

                                           노래 채 끝나지 않았는데 늙은이는 여기있네                                                                   

                                                        ㅡ어부가ㅡ                                                 

                                           전설의 풍류처럼 물결 따라 흘러가니

                                           창생의 바람 있었으나 이제 어이하리

                                           구봉 아래 거룻배엔 달빛이 가득한대

                                           어부가 한 소리가 애간장을 끊네                                                   

                                                           면앙정가

                                                             ㅡ송순 ㅡ

                                       십년을 경영하여 초려삼간 지어내니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 한 칸 맡겨두고

                                       강산을 들일 데 없으니 둘러 두고 보리라

                                       [이단가는 면양정 이라는 호를 가진

                                                  조선 문신 [송순]1493ㅡ1583                                                 

 

                                                  가을은 소리의 계절

                                                           ㅡ문병란,ㅡ               

                                           가을은 소리의 계절

                                           곱게- 타오르던 꽃들도

                                           탐스레 작은 풀벌레 소리로

                                           변해버린다

                                           숲속에선 나종 떨어진 가랑잎이

                                           먼저 떨어진 낙옆에게 속삭이며

                                           잠 못 이루는 사랑의 한숨소리로 묻힌다.

                                          [대체로 가을은 시각의 계절이었다

                                           여름내내 녹색 뿐이던 자연이 온갓 빛갈로

                                           칠해지며 가을 단풍은 화려하다.

                                           그래서 예 시도 오늘의 시도 시각을 마음껏

                                           구사하는데 여기 무등산의 시인은 가을을

                                           소리의 계절로 노래한다

                                           흩어진 것들 제자리에 돌아옴이

                                           곧 산야의 사물들도 악보가 되어 소리를 내는

                                           것이다. 떠난 사람도 돌아와 소리를 낸다,

                                                             절구

                                              강이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산이 푸르니 꽃이 붉게 타네

                                              올 봄도 또 지나가니

                                              어느 날에나 고향에 돌아갈고

                                                              오백년

                                                                 ㅡ길재.ㅡ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한데 인걸은 간데없네

                                             어즈버 태평영월이 꿈이런가 하노라

                                             1353ㅡ1419 고려말의 학자

                                            고려가 망하고 고향에서 숨어

                                            살았음  

                                                           만수산

                                                         ㅡ 이성계ㅡ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 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어져 반년까지 느리리라

                                             1367ㅡ 1422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뒤에 태종 임금이 됨                                              

                                                   옥봉은 차마

                                                  세수대야 거울삼아 얼글을 씻고

                                                  물을 기름 삼아 머리를 빗는 다오

                                                  이내 몸이 직녀가 아닐 진대

                                                  낭군이 어찌 견우가 되오리까  

 

'유명시인의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김철수 詩  (0) 2022.08.11
고전의구사  (0) 2022.08.11
산행 詩  (1) 2022.08.11
평 시 조,{ 시경},효선생  (1) 2022.08.11
시조,동요,한시  (0) 2022.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