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시인의詩

평 시 조,{ 시경},효선생

동해 갈매기 2022. 8. 11. 04:39

 

 

 

                              달밤

         침상에 기대어 달빛을 보니

         땅 위에 서리가 내린 듯,

         머리들어 산마루 달을 보다가

         머리를 숙여 고향을 생각하네                                           

                    

                                            이화 월백하고

                                                 ㅡ이조연ㅡ                                        

                                         이화 월백하고 은하는 삼경인데

                                         일지 충심은 자규야 알라 마는

                                         다정도 병인냥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1268ㅡ1343]고려말기의 학자                                         

                                                  국화야 너는어이

                                                       ㅡ이 정보ㅡ

                                         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 춘풍 다 지나고

                                         낙목 한천에 네 홀로 피어나니

                                         아마도 오산 고절은 너뿐인가 하노라

                                        {조선 중기의 이름난 학자}                                            

                                                          떠 드렁산

                                                    ㅡ해월  최현병ㅡ

                                            보리밭 가장자리 물밑에 스며들고

                                            나룻배 물그림자 하늘을 담았는데

                                            양수리 떠드렁산은 애기밴듯하여라

                                            

                                             남자는 지난일을

                                                    ㅡ해월 최현병ㅡ

                                         남자는 지난일을 쉽게 잊어버린다

                                         여자는 그일을 가슴밑에 숨겨둬다

                                         두고두고 꺼내여보고 가슴아파한다

 

                 

                                                                망 종 일

                                                      ㅡ 해월 최현병ㅡ

                                           볍씨를 뿌린후라 마음이 더아리다

                                           풀보리 그을려서 알곡을 만든심정

                                           밤이슬 다맞인후에 눈물이라하드라

                                                             난초 그림에 부처

                                                           ㅡ신위ㅡ

                                          사람 그림에 한[恨]그리기 어렵고

                                          난초 그림에 그 향기 그리기 어렵도다

                                          향기 그리고 한도 그렸으나

                                          그림 그릴 때 무던히 애 끊었음이여

                                                       독서

                                                ㅡ 이성관ㅡ

                                              연목가에  하아얀 소녀 앉아서

                                              봄, 여름, 가을, 겨울

                                              책만 읽고 있어요

                                              소녀의 고운 생각

                                              책 속 애기들

                                              꽃이되어 저렇게 피었을까요

                                              향기가 실바람에 젖어 들가요

                                              떼로 나는 벌나비

                                              푸른 새 소리

                                              해종일 넘나들며 춤을 추는데

                                              힌구름 머무는 듯 오고가는데               

                                              공부하다 모르는 것

                                              알고플 때는

                                              가만가만 귓속말로 물어볼까요

                                              친구들도 오지않은 심심한 날은

                                              얘기를 들려달라 졸라 볼까요

                                              아는 듯 모르는 듯 말이 없어도

                                              다문 입 졸라대면 열릴 것 같아

                                              얘기를 나누고픈 연못가 소녀

                     둥굴게 

           둥굴게 둥굴게 둥굴게 둥굴게

           빙글 빙글 돌아가며 춥을 춥시다

           손벽을 치면서 노래를 부르며

           랄라 랄라 줄겁웁게 춤을 춥시다

           링가 링가 링가링가링기링  

           손에 손에 잡고 모두 다 합게

           줄거웁게 뛰어 보여 봅시다

           둥굴게 둥굴게둥굴게 둥굴게

           빙글 빙글 돌아가며 춤을 춥시다

           손벽을 치면서 노래를 부르며

           랄라 랄라 줄거웁게 춤추자 

 

                                                     동내 한 바퀴

                                            다 같이 돌자 동네 한 바퀴

                                            아침 일찍 일어나 동네 한 바퀴

                                            우리보고 나팔꽃 인사 합니다

                                            우리도 인사하며 동네 한 바퀴

                                            바둑이도 같이돌자 동네 한 바퀴                          

                                                    사과같은 내얼굴                                      

                                           사과같은 내 얼굴 이쁘기도 하구나

                                           눈도 반짝 코도 반짝 입도 반짝반짝                                          

                                           오이같은 내얼굴 길기도 하구나

                                           눈도 길쭉 귀도 길쭉 코도 길쭉길쭉

                                           호박같은 내 얼굴 우습기도 하구나

                                           눈도 둥굴 귀도 동굴 입도 동굴동굴 

 

                                                                                  도 솔 암

 

도요 [시경]

ㅡ복사나무 ㅡ

복사 나무 앳된 가지

빨긋빨긋 꽃이 피네

가마 타는 저 아가씨

시집 가서 의 좋갰네

복사 나무 엣된 가지

열매 맺어 주렁 주렁

가마 타는 저 아가씨

시집 살이 흥겹 겠네

복사 나무 엣된 가지

잎 퍼 져 너울 너울

가마 타는 저 아가씨

시집 살이 즐겁 겠네

 

 

                                                                          개풍 [시경]

                                                          남 풍

                                                따스한 남풍이 저 몹쓸 것

                                                어린 나무에 불어주네

                                                나무 철부지들을,,,,,,,,,                       

                                                따스한 남풍이 살랑 와서

                                                저 섶나무에 불어주네

                                                우리 엄마 착한 분인데

                                                우린 이렇게도 못났데요

                                                차디찬 샘물도 사람위에

                                                고을 아래로 흘러 드는데,,,

                                                일곱 아들 이렇게 있어도

                                                우리 엄마 고생만 시켰다오

                                                꾀 꾀꼴 정다운 노래 소리

                                                듣기만 해도 맘 흐믓한데

                                                일곱 아들 이렇게 있어도

                                                우리 엄마 위로조차 못했소

 

                         ㅡ동해 김철수 그림 [달마]ㅡ

                                                                                   

                                                         시 조

                                                       ㅡ조춘ㅡ

                                         그럴싸 그러한지 솔빛 벌써 더 푸르다

                                         산골에 남은 눈이 다 산 듯이 보이고너

                                         토담집 고치는 소리 별밭 아래 들려라

                                                          [풀이]

                                         1950년 가을 북으로 끌려갔으니 이미

                                         지금은 저승인가 ? 1892년 생이므로

                                         이 현대시조 연작 3편은 이른 봄의

                                         생활을 노래하고 있다 .

                                         정인보는 박은식,신채호 등과 짝해 애국

                                         운동에 나섰고 한용운.홍명희 등과 사귀어

                                         식민지 시대의 지사였다,

                                                ㅡ 정, 철ㅡ

                                         마을 사람들아 옳은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갓 고깔씌워 밥 먹이나 다르라

                                                                         

                                                     ㅡ 정, 철ㅡ

                                         오늘도 다 새거다 호미매고 가자스라

                                         내논 다매거든 네논 좀 매어주마

                                         올 길에 뽕따다 누에먹여 보자스라

        

 

 

                                                        ㅡ 정, 철ㅡ

                                         한몸둘에 나눠 부부로 살으실새

                                         있을제 함께늙고 죽으면 한데간다

                                         어디서 망령의 것이 눈 흘기려 하느뇨

                                                        ㅡ열반송ㅡ                                                              

                                         즐거운 한시절 자취없이 가버리고

                                         시름에 묻인 몸이 덧없이 늙었으리

                                         한끼 밥짓는 동안 더기다려 무엇하랴

                                         인간사 꿈결인줄 내이제 알았느라

                      

                         

                                                          춘방[春望]

 

                                              나라는 무너져도 산과 내는 옛 그대로

                                              성에는 봄이와서 초목마다 푸르렀네,

 

                                              시절이 못내 슬퍼 꽃잎도 눈물 짜고

                                              어이타 이별인가 새들도 질겁하네.

 

                                              전쟁의 봉화불  석  달째에

                                              고향 편지 받아드니 황금 만 냥 가당켔네

 

                                              백발을 긁다 보니 귀 더욱 햬성하니

                                              동곳도 낄 수 없어 지르르 떨어지네

    000[사랑한님]000

 이화우후[梨花雨後]꽃필적에 우리사랑 피어났고
  추풍낙엽[秋風落葉]낙엽질제 울며잡고 이별한님
   천리타향[千離他鄕]떠난님 내맘호수 아롱 집니다

                                            

      ㅡ효[孝]의  의미.ㅡ
                   [글자 풀이]

한국인의 근본의식을 담고 있는
효[孝]는 아들 [子]늙으신 아버이를
업고 있는 상형으로 자식이 아버지를
업어 모신다는 뜻이다.

     ㅡ효[孝]와 효행의 뜻ㅡ

효[孝]는 백가지 행실의 근본으로
  국어 사전에는 어버이를 잘 섬기는
일이라 했고 효행[孝行]은 부모를
             정성으로 섬기는 행실이라 풀이하고 있다

   즉 효는 자기 자신의 생명을 부여해
         주었거나 보호해 준 부모님께 감사하여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고

    효행은 공경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고
뜻을 받들어 마음이 편하시도록 섬기는
일이라 하겠다.
 

 

                                                            000 見聽二思一言000

                                                   견청이사일언하라

                                                    ㅡ 효선생 님ㅡ

                                           두 눈으로 두 귀로 듣고 배우는 것을

                                           두뇌로 두번 생각해서 한 입으로 한번

                                           말하면 실수가 적고 인[仁]자의 경지에

                                           도달 할 것이다,

                                             

  

                                                  ㅁㅁㅁ 효 선생 님 ㅁㅁㅁ                                 

                                                         家和萬事成                                         

                                           부모 [夫母]님은 나를 분신[分身]

                                           하심이요 兄弟의 동기는 手足과 같고

                                           夫婦는 一心同體 [일심동체] 이니라

                                           형제 동기간 지 정리와 부부의 정을 돈덕히

                                           함으로 가정이 화목하니 부귀하고 부모님이

                                           기뻐하시고 부모님을 섬기는 자기의 도리를

                                           함인데 친지가 칭찬하고 이웃분들이 존대를

                                           하니 이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며 하늘

                                           을 우러러 부끄럼 없는 삶이라 할 것입니다,

       

                                                              

                                         좋은 글

                                                ㅡ 효선생님ㅡ

                                         ㅁㅁㅁ하기 대로 ㅁㅁㅁ

                                   소인 대인 인품 재목대로 잘나 못나 신수 얼굴대로

                                   부자 빈자 마음 먹기대로 장수 단명 목숨 수명대로

                                   유식 무식 학식 유무대로  윶판 승패 말길 쓰기대로

                                   자식 낳아 교육 시킨대로 복밭 을일 하면 행복대로

                                   인생 살기 자기 하기대로

                                                   봉황과 잡새

                                                        효 선생님\

                                      봉황과 잡새가 다르고 용[龍]사[巳]다르듯이

                                      소인은 자신의 이익만으로 평생토록 낙를삼고

                                      대인은 민생 국가 번영의 몸과 마음을 다한다,

                                            ㅇ 하루한번 세탁지 ㅇ

                                                                    

                                     거울 볼때 부끄러운 행동 했는 가를 볼 것이며

                                     양치할때 입 깨끗이씻고 바른 말 고운말 하고

                                     세수 할때 마음에 때도 씻고 딱도록 하시라

                     

                                                            見遷二思一言

                                                        견천 이사일언 하시와

 

                                    [풀이] 두눈으로 보고 두귀로 듣고 배우는 것을

                                    두뇌로 두번 생각해서 한입으로 한번 말하면

                                    실수가 적고 仁 자의 경지에 도달 할 것이다,

                                    금 은 보화를 가진자나 관직을 가진자나

                                    지식을 가진자도 의[義]을 행하신 분만 못하다.

                                                 하늘에 별이 있고 땅에는 꽃이 있고

                                                 바다에는 진주가 있고 내 곁에 당신이

                                                 있고 사랑이 있기에 행복 하다.

  

                                                 배움과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人生은

                                                 上,中,下,로 성공이 정하여 진다

                                                       ㅡ태산유수ㅡ

                                         태산은 어찌하여 만인이 우러러보면

                                         유수는 어찌하여 낮은 곳으로만 가느냐

                                         우리 인생도 이같이 태산유수와 같다                        

                                                         ㅡ효선생.ㅡ

                                      바른말을 해주면 덜된자는 쓴소리 한다고 하며

                                      바른말을 하면 참된자는 감사하다고 절을한다,

 

 

'유명시인의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시조  (1) 2022.08.11
산행 詩  (1) 2022.08.11
시조,동요,한시  (0) 2022.08.10
김소월 詩  (0) 2022.07.27
서산대사  (2) 2022.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