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나무아미타불

서종사

동해 갈매기 2022. 6. 5. 15:26

 

오늘 음력7월15일 백종

(우란분절)날이라 절에 다녀오느라
방문이 늦었네요...(^-^)*

"매년 음력7월15일(우란분절, 백중,백종)
세속에서는 백중이라 하고,
불교에서는5대명절중 하나인 우란분절...
불교에서는 우란분절이라 하여

특별히조상을 천도하는 행사를 봉행합니다

우란분절은 대자대비의 효심을 밝히는날입니다.
작게는 부모님과 선망조상님들의 극락왕생과 해탈을 기원하고,
크게는 일체중생을 구제하겠다는 대서원을 실천하는 날입니다.

그래서 불교4대명절 중 하나로 이날을 꼽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도 백중은 일년중 가장 큰행사로 어겼다고 합니다...

민간에서는 고된농사를 끝내고 별이는 세시 명절...
새벌김매기인 만두레를 끝낸다음 벌이는 농민및머슴들이
대동굿으로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최대명절이였다고 합니다."

 

 

                                                                         서  종  사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배치골길 159

                                                     구비 구비 산길 올라서며 조용한 산사

                                                     에 염불소리가 온 산천에 울리는  소리

 

                                                        < 마하마야경>

 



                                             /오늘, 내 마음이 듣고 싶은 말/

                                        하늘이 칠보를 비처럼 내려도 욕심은 오히려

                                        배풀 줄 모르나니, 즐거움은 잠깐이나

                                        괴로움은 많다는 것을 어진이는 깨달아야 한다.

 



                                                              - 법구경 -  

                               "벼르고 벼르다"

                                여유가 생겨 좋은 옷 한 벌 사고 나면 신나고 뿌듯하지요.

                                그러다 이내 새 옷에 어울리는 구두가 눈에 들어오고,

                                가방이며 장신구 등

                                갖고 싶은 물건들에 욕심이 생겨 괜히 울적해집니다.

                                옷 한 벌에도 이럴진대 세상 차고 넘치는 온갖 재화를

                                아무리 수중에 넣어 본들 우리 물욕이 채워질까요?

                                욕심을 버리지

                                못하는 한 소유는 괴로움의 순환 고리에 불과합니다."

                                해성스님의 <오늘, 내 마음이 듣고 싶은 말> 중에서 -

 

 

 

                               사람은 현재,미래, 과거 중 어떤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까.

                               부처님 말씀에는 과거는 지나가 버렸고 미래는 오지 않았으니

                               과거에 너무 연연할 필요도 없고

                               미래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으니

                               순간순간인 현재가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현재의 삶에 열심히 살면되는 것이다.

                               그렇다 과거의 괴로움에는 연연할 필요가 없다.

                               놓쳐버린 시간을 부여잡고 괴로워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래도 과거의 기억이 좋은 모습으로

                               남은 시간은 항상 되돌아 보며 미소 짓게 만든다.

 

 

                                            겨울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유난히 춥지 않은 겨울이라 살기에는 편안하지만

                                            시간이지만 겨울의 시간에는 한 해의 가고 오는

                                            시간도 있기에 돌아보고 회한하는

                                            시간과 기대하는 시간의 엇갈려 지나간다.

 

 

                                            시간을 거슬러 20년 전에 이곳에 만난 지

                                            한달 된 지금의 와이프와 들렀었던 곳이다.

                                            좋은 인연으로 맺어진 이곳의 기억은

                                            어쨌든 좋은 기억으로 남아 있다.

 

 

                                        불교의 가르침은 공()으로 집약할 수 있다.

                                        깨달음도 공이고 말씀도 공이고 수행도 공이다

                                        여기에 보이는 움직임도 없는 바라처럼

                                        멈춰있으면 공이 되는 것이다.

                                        그 멈추어진 세계에서 무엇인가 있는 진공묘유(眞空妙有)

                                        그것이 본질인 것이다.

                                        그래서 부처가 무엇이냐고 하면

                                      “ 마당의 똥 막대기 이기도 하고 마 세근이기도 하다.

 

 

                                        서종사는 20년전 그 모습 그대로 있었다.

                                        대웅보전 옆에 석실도 그대로 였고

                                        그 안에서 조용히 앉아 있는 부처님도 

                                        울리는 스님의 독경소리도 여전  하였다.

                                               

                                     

                                     

 

 

 

 

 

 

 

 

 

 

 

 

'불나무아미타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원정사  (0) 2022.06.05
백담사  (0) 2022.06.05
망경사  (0) 2022.03.29
구룡사[원주]  (0) 2022.02.02
2022년 계묘년[설]  (1)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