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스케취

효선생님

동해 갈매기 2022. 7. 25. 18:31

                                              

                                                              ㅡ 정, 철ㅡ

                                                    마을 사람들아 옳은일 하자스라

                                                   사람이 되어나서 옳지 못하면

                                                   마,소,갓 고깔씌워 밥 먹이나 다르라                                                                             

                                                             ㅡ 정, 철ㅡ

                                                 오늘도 다 새거다 호미매고 가자스라

                                                내논 다매거든 네논 좀 매어주마

                                                올 길에 뽕따다 누에먹여 보자스라        

                                                        ㅡ 정, 철ㅡ

                                                      한몸둘에 나눠 부부로 살으실새

                                                      있을제 함께늙고 죽으면 한데간다

                                                     어디서 망령의 것이 눈 흘기려 하느뇨

                                                                       ㅡ열반송ㅡ                                                             

                                                          즐거운 한시절 자취없이 가버리고

                                                         시름에 묻인 몸이 덧없이 늙었으리

                                                         한끼 밥짓는 동안 더기다려 무엇하랴

                                                         인간사 꿈결인줄 내이제 알았느라

                                                               춘방[春望]

                                              나라는 무너져도 산과 내는 옛 그대로

                                              성에는 봄이와서 초목마다 푸르렀네,

                                              시절이 못내 슬퍼 꽃잎도 눈물 짜고

                                              어이타 이별인가 새들도 질겁하네.

                                              전쟁의 봉화불  석  달째에

                                              고향 편지 받아드니 황금 만 냥 가당켔네

                                              백발을 긁다 보니 귀 더욱 햬성하니

                                              동곳도 낄 수 없어 지르르 떨어지네

 

 000[사랑한님]000

   이화우후[梨花雨後]꽃필적에 우리사랑 피어났고
   추풍낙엽[秋風落葉]낙엽질제 울며잡고 이별한님
                                                천리타향[千離他鄕]떠난님 내맘호수 아롱
 아롱                                              

                                                                   ㅁㅁㅁ 효 선생 님 ㅁㅁㅁ                                 

                                                                                       家和萬事成                                                   

                                           부모 [夫母]님은 나를 분신[分身]

                                                  하심이요 兄弟의 동기는 手足과 같고

                                               夫婦는 一心同體 [일심동체] 이니라

                                          형제 동기간 지 정리와 부부의 정을 돈덕히

                                           함으로 가정이 화목하니 부귀하고 부모님이

                                           기뻐하시고 부모님을 섬기는 자기의 도리를

                                           함인데 친지가 칭찬하고 이웃분들이 존대를

                                           하니 이보다 더 좋은 일은 없을 것이며 하늘

                                           을 우러러 부끄럼 없는 삶이라 할 것입니다,

                                                              

                                                               좋은 글

                                    ㅡ 효선생님ㅡ

                                         ㅁㅁㅁ하기 대로 ㅁㅁㅁ

                                   소인 대인 인품 재목대로 잘나 못나 신수 얼굴대로

                                   부자 빈자 마음 먹기대로 장수 단명 목숨 수명대로

                                   유식 무식 학식 유무대로  윶판 승패 말길 쓰기대로

                                   자식 낳아 교육 시킨대로 복밭 을일 하면 행복대로

                                   인생 살기 자기 하기대로

동해 김철수  그림

                                                              봉황과 잡새

                                                        효 선생님

                                      봉황과 잡새가 다르고 용[龍]사[巳]다르듯이

                                      소인은 자신의 이익만으로 평생토록 낙를삼고

                                      대인은 민생 국가 번영의 몸과 마음을 다한다

                                            ㅇ 하루한번 세탁지 ㅇ                                                                   

                                     거울 볼때 부끄러운 행동 했는 가를 볼 것이며

                                     양치할때 입 깨끗이씻고 바른 말 고운말 하고

                                     세수 할때 마음에 때도 씻고 딱도록 하시라                    

                                                            見遷二思一言

                                                 견천 이사일언 하시와

                                    [풀이] 두눈으로 보고 두귀로 듣고 배우는 것을

                                    두뇌로 두번 생각해서 한입으로 한번 말하면

                                    실수가 적고 仁 자의 경지에 도달 할 것이다,

                                    금 은 보화를 가진자나 관직을 가진자나

                                    지식을 가진자도 의[義]을 행하신 분만 못하다.

 

                                                  하늘에 별이 있고 땅에는 꽃이 있고

                                                  바다에는 진주가 있고 내 곁에 당신이

                                                  있고 사랑이 있기에 행복 하다.

                                                  배움과 자신의 노력 여하에 따라 人生은

                                                  上,中,下,로 성공이 정하여 진다

                                                       ㅡ태산유수ㅡ

                                                 태산은 어찌하여 만인이 우러러보면

                                                 유수는 어찌하여 낮은 곳으로만 가느냐

                                                 우리 인생도 이같이 태산유수와 같다 

                     

                                                         ㅡ효선생.ㅡ

                                                바른말을 해주면 덜된자는 쓴소리 한다고 하며

                                                바른말을 하면 참된자는 감사하다고 절을한다,

 

 

청량사 가는 길 

  낙옆이 제살썩여서 보시하는 청량사 길

  해 저녁 새북소리가 여울져서 퍼져날때

  끝가지 남은 잎새는 만행길을 채비한다 

늦가을이 산머리에장성처럼 다아오면

  금탑봉 처마끝에는 까치밥이 익어 간다

                          절집은 산새들 둥지 부처말씀 홍씨일세                         

                                                 가위 바이 보

                                                 아침바람 찬 바람에

                                                 울고가는 저 기러기

                                                 우리선생 계실적에

                                                 옆서 한장 써 주셔요

                                                 구리 구리 멍터구리

                                                 가이 바위 보

                                                    개나리

                                                   하늘의 별꽃

                                                   별빛타고 소올솔

                                                   연못에 내려

                                                   선녀님들 차락차락

                                                   미역 감다가

                                                   어딜까,귀 세우는

                                                   발길 소리에

                                                   놀라 그만 떨구고 간

                                                   치마 저고리

                                            청주에서 유행하는 동요ㅡ

                                          달갈달갈 달강달알  서울길로 가다가ㅡ

                                          밤한되를 주서서ㅡ  살강밋헤 무덧더니

                                          미ㅡ감은 생쥐가ㅡ  들락나락 다까먹고

                                          밤한말을 남겨드라  가마속에 쌀물까ㅡ

                                          함박으로 건질까ㅡ  조리로ㅡ 건질까ㅡ

                                          할아버지 껍질주고  할머니도 껍질주고

                                          알망이는 너구나구  먹자구나

                                                  ㅡ정성나주유행동요.ㅡ            

                                         울아바니 노리개는 긴지설대 노리갤네

                                         울어머니 노래기는 망내딸이 노리갤네

                                         울오래비 노래개는 경책,,,이 노리갤네

                                         우리형님 노리개는 바늘끝이 노리갤네

                                         우리머슴 노리개는 움머소가 노리갤네

                                         우리엄마 노리개는 함박좁박 노리갤네      

                                                     충주지방동요

                                         쥐는쥐는 궁계자고 새는새는 남게자고

                                         각시각시 고운각시 저의신랑 품에자고

                                         우리같은 아가씨는 우리엄마 품에자네

                                                                [1920ㅡ ]                                               

                                                      우리누나 

                                                  퐁당 퐁당 돌을 던지자

                                                  누나 몰래 돌을 던지자

                                                  냇물아 퍼져라

                                                  멀리 멀리 퍼져라

                                                  건너편에 앉아서 나물을 씻는

                                                  우리누나 손등을 간질어 주어라                                           

                                                  퐁당 퐁당 돌을 던지자

                                                  누나 몰래 돌을 던지자

                                                  냇물아 퍼져라

                                                  퍼질대로 퍼저라

                                                  고운노래 한마디 들려달라고

                                                  우리누나 손등을 간지러 주어라                                                         

                                                        강변에 살자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뒷문 밖에는 갈잎에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우산                                                 

                                                           ㅡ이계석 작곡,

                                                 이슬비 내리는 이른 아침에

                                                 우산셋이 나란이 걸어갑니다

                                                 파란우상 깜장우산 찢어진 우산

                                                 좁다란 학교길에 우산세개가

                                                 이마를 마주대고 걸어 갑니다,

                                                             마음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두고

                                             너을도 가까이 않고 우로 받아 사느니라

                                                          봄이오고

                                             몸을 담아 두니 마음은 돌과 같다

                                             봄이 오고 감도 아랑곳 없을러니

                                             바람에 날리든 꽃이 뜰 위 가득하구나

                                                               나무

                                             뜰에 심은 나무 길이 남아 자랐도다

                                             새로 돋는 잎을 이윽이 바라보다

                                             한 손에 백당을 들고 가슴 아파 하노라

                                                   

                                                                 曲

                                                           ㅡ조선문학.ㅡ

                                             곧장 가자하면 갈 수 없는 벼랑길도

                                             굽어서 돌아서가기면 갈수 있는 이치를

                                             겨울 굽은 난초잎에서 새삼스럽게

                                             배우는 날 無力이여 無力이여

                                             안으로 굽기만 하는 내 왼갖 무력이여

                                             하기는 이 이무기힘도 대견키사 하여라  

                              其 二                              

雅友金公主美風          아우김공주미풍
 四方善士訪修躬           사방선사방수궁
 深文講究弘民業           심문강구홍민업

 勇武硏磨大世功           용무연마대세공
 詩界先知爲上達           시계선지위상달
 書家已覺在芳通           서가이각재방통
 從心順理宣明德           종심순리선명덕
 鶴壽無疆位秀翁           학수무강위수옹

 

 

    우아한 벗 김공은 미풍양속을 주장하여
         사방의 선사들이 몸을 닦으려 내방 한다오
 깊은 학문을 강구하여 민업을 넓히고
             용맹한 무술을 연마 훈도하니 세공이 크도다
시세계의 선지자로서 상달을 하였고
   서가의 이각자로서 곡직함이 있었다오
                 마음에 순리를 따라 밝은 덕을 세상에 밝혔으니

           학수무강하여 빼어난 늙은이로 자리 하소서

 

                                             

                                               악양루에 올라

                                               예전에 동정호의 이름을 들었는데

                                               이제야 악양루에 올라왔도다

                                               오나라와 초나라는 동남쪽에 펼쳐있고

                                               하늘과 땅이 밤낮으로 떠 있는 것 같네

                                               고향에 벗은 소식 한 자 없고

                                               늙어 병든 몸이 외로이 배를 타고 떠돈다

                                               싸움은 고향 북쪽에서 그치지 않고 있으니

                                               난간에 기대어 눈물만 흘리고 있네

                                                        

                                                           빈 교 행

                                            손을 뒤집어 구름을 만들고, 엎어선 비를 

                                            오게 하나니 어지럽고 경박한 세상사

                                            어찌 다 헤아리라

                                            그대 관중과 포숙이 가난할 제 우정을

                                            보지 않았느냐

                                            이 우정을 지금 사람은 흙같이 버리는구나.    

                                

                                                            오 뉴월

                                                         ㅡ이 문구ㅡ

                                            엄마는 아침부터 밭에서 살고

                                            아빠는 저녁까지 논에서 살고

                                            아기는 저물도록 나가서 놀고

                                            오뉴월 긴긴해에 집이 비어서

                                            더부살이 제비가 집을 봐주네   

 

 

                                                                                    옹달샘

                                                                깊은산속 옹달샘 누가와서 먹나요

                                                                맑고맑은 옹달샘 누가와서 먹나요

                                                                새벽에 토끼가 눈비비고 일어나

                                                                새수하러 왔다가 물만 먹고 가지요    

                                   

                                                    開花

                                                           ㅡ이 호우ㅡ

                                              꽃이 피네 한잎 두잎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마침내 남은 한 잎이 마지막 떨

                                              고 있는 고비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니

                                              나도가만 눈을 감네                                              

                                                

                                                 아직은 사랑을

                                                                  全哲吉

                                               준비 안된 사랑을 햇다가 必敗로다

                                               마음이 건강해야 사랑도 순조롭건만

                                               사랑을 맑게 보는 눈이 나에게 없어                        

                                               까불던 빈 털털이 사랑하고 싶어

                                               그 착한 여인내를 꼬드기고 말았어라

                                               진실로 사랑할때 그만두고 말았네                                                             

                                                                                                                               동해 김철수 그림

 

                                                살구꽃 핀 마을

                                              살구꽃 핀 마을은 어머니 고향같다

                                              맟나는 사람마다 등이나 치고치고

                                              뉘집을 들어서며는 반겨 아니 맞으랴

                                              바람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아오면

                                              술익은 초당마다 정이 더욱 익으려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이 아니 바쁘리    

     

                                                                                                

                                                      고전의 구용

 

                                 우리 조상들은 몸가짐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가르치며

                                 배워서 행했는지에 대해 예절을 가르친 소학에 제시되

                                 고 율곡선생이 저술한 격몽요결 에도 인용된 아홉가지

                                 모습이란 뜻의 구용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족용 중[足容重

                                 발을 옮겨 걸을 때는 무겁게 해야 한다. 그러나 어른의

                                 앞에서 걸어야 할 때 민첩하게 걷는다 이것은 진중해야

                                 지 경망스럽게 움직여서는 아니 된다는 뜻이다 그렇지

                                 만 어른의 앞을 지날 때라든가 어른의 명을 행할 때는

                                 가볍고 민첩하게 해야 할 것이다,

 

                                                       수용공 [手容恭]

                            

                                  손을 쓰잘데없이 놀리지 말 것이며 만일 일이 없을

                                  때는 두 손을 모아 공수하고 공손한 자세로 취해야

                                  한다 공연히 손 장남을 치거나 불필요한 손 놀림을

                                  하는 것은 집중력을 산만하게 하고 상대를 안중에

                                  두지 않은 결과가 되기도 한다

 

                                                    목용 단[目容端]

                                 눈을 단정하게 곱게 떠서 지긋이 정면을 보아야 한다

                                 곁눈질을 하거나 치뜨거나 남을 노려보거나 하는것은

                                 단청치 못한 눈의 모습이다 그리고 어른을 뵈올 때는

                                 정면 으로 눈을 부딪치지 않게 하고 어른의 눈보다 낮

                                 은곳을 그윽하게 바라보는것이 단정한 눈의모습이된다

 

 

                                                   구용 지 [口容 止]

                                 입은 조용이 다물어야 한다 입을 헤 벌리거나 쓰잘 데

                                 없이 여러 말을 하는 것은 교양 있는 사람의 입모습이

                                 아니다 해야 할 말만 조용이 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조

                                 용히 다문다 다문다도 해서 힘주어 꼭 다물면 오히려

                                 사나워보인다 자연스럽게 조용히 멈춰있는 상대가좋다.

                                                          성용 정[聖容靜]

                                  말소리는 항상 조용하고 나직해서 잡소리를 내지 않

                                  은다, 성낸 소리나 거친 소리 또는 고함을 지르듯이

                                  말하면 듣는 사람이 불안하고 말하는이의 교양을 의

                                  심하게 된다.

                                                     두용 직[頭容直]

                                  머리를 곧게 들고 몸을 비틀거나 공연히 자세를 흐트

                                  러지게 하지 않은다 머리를 곧게 해야 눈과 시선이 단

                                  정해지고 전체의 자세가 바르게 된다,

                                                         기용 숙[氣容肅]

                                  기운이란 몸 전체의 기상을 말한다 호흡을 조용하고

                                  고르게 하고 전체의 몸가짐을 엄숙하게 한다,거친 숨

                                  소리와 흐트러진 모습은 남에게 업신여김을 받는다

                                                      입용 덕[立容 德]

                                  서있는 모습은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어디에 기

                                  대거나 삐뜰어지게 서있으면 교양 없이 보인다 여기에

                                  서의 덕[德]은 교양을 의미 한다고 할 것이다,

                                                                색용 장 [色容壯]

                                       색이란 표정을 말한다

                                       얼굴의 표정은 씩씩하고 명랑하며 

                                        발랄 해야 한다   

                                                                효의 실천

                                 효의 실천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부모가 도덕적인 거울이 되어 항상 모범을 보이되

                                 가까운 주변의 쉬운 것부터 실천하도록 가르친다. 

                                                                      

                                                         시 ㅡ 조

                                                              가 ㅡ 곡

                                              공산에 우는접동 너는어이 우짓는냐

                                              너도 나와같이 무슨이별 하였느냐

                                              아무리 피나게 운들 대답이나 하더냐

                                                        호: : [운애]雲崖

 

                                                     正音[정음]正歌[정가]

                                                                  평시조ㅡ

                                                                 ㅡ 박효관ㅡ

                                            님그린 상시몽[相媤夢]실솔 [귀뚜라미]

                                            추야 장 깊은 밤에 님의 방에 들었다가

                                            날 잊고 깊이든 잠을 깨워볼까 하노라

                                                         [   풀  이   ]

                                            님 그리다 죽으면 귀뚜라미라도 되어

                                            기나긴 가을 밤 님의 방에 들어가 못다한

                                            사랑 노래를 부르리

 

                                                    이 고 진

                                                                  [정 ,철]

                                                                     1536ㅡ1593

                                            이고진 저 늙은이 짐 벗어 나를주오

                                            나는 젊었거늘 돌인들 무거우랴

                                            늙기도 서러라거늘 짐을조차 지실가

                                                 [조선시대 문인 [송강]

                                                     가사로 유명함

                                                 철   령

                                                                    [정철]

                                           철령 높은곳에 쉬어넘는 저 구름아

                                           고신 원루를 비삼아 띄워다가 님계신

                                           구름 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랴

                                                                 [1536ㅡ 1593]

                                                      조선 선조때의 문신 사미인곡

                                                      성산 별곡등 가사집에 있음

                                                            흥 망 이

                                                                   ㅡ원천석 ㅡ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로다

                                            오백년 왕업이 목적에 부쳤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고려말의 학자 절개의 선비]

 

                                                             백 설 이

                                                                      ㅡ이색 ㅡ

                                            백설이 잦아진 골에 구름이 머흐메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곳에 피였는고

                                            석양에 홀로서서 갈곳 몰라 하노라

                                                                         [1328ㅡ 1395]

                                                        고려말의 학자 조선건국후에

                                                                          벼슬을 그만듬

 

 

                                                     덕 [德]

                                                          ㅡ좋은글 중에서ㅡ                                   

                                             덕은 선을 행할 수 있는 힘이요

                                             옳은 길을 갈 수 있는 품성이다

                                             남을 감동 시킬 수 있는 능력이요

                                             인간에서  풍기는

                                             따뜻한 활기와 같은 것이다.

                                             덕이 풍족하면 마음이 넓고

                                             활달해진다.그러므로 덕을 배우고

                                             덕을 닦으며 덕을 쌓도록 지도한다,

                                          " 벤자민 프랭클린" 도 "돈이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덕이 없음을 걱정하라"

                                             하였듯이 덕을 가춘 사람은 절대로

                                             외롭지 않다,

                                                         

   

                                          ,ㅡ 돈돈돈ㅡ

                                           소중한 물건 [person]을 살수있으나

                                           사람의 마음 [sduse]은 살수 없다,

                                           화려한 집[house]은 살수 있어도

                                           행복한 가정 [home]은 살수 없다,

                                           편리한 시계 [clock]은 살수 있어도                                             

                                           흐르는 시간 [time]는 살수 없다,

                                           지혜로운 책 [hook]은 살수 있어도

                                           결코 지혜 [wisdom]는 살수 없다,

                                           권력,지위 [position]은 살수 있어도

                                           가슴속 존경 [respect]은 살수 없다                                                   

                                           좋은 약 [medicine]은 살수 있지만

                                           평생 건강 [health]은 살수 없다,

                                           귀중한 피 [blood]는 살수 있어도

                                           영원한 생명 [life]은 살수 없다,

                                           쾌락의 섹스 [sex]는 살수 있어도                                         

                                           진정한 사랑[loue] 은 살수 없다,

                                           돈만 가지고는 가장 가치있고 진정

                                           으로 만족스러운 것을 살수 가 없다,

                                           진정한 幸福은 돈에서가 아니라

                                           마음에서 울어 나오는 것입니다,

                                                         춤을 추자                                                             

                                               춤을 추자 춤추자 신나는 춤을

                                               경쾌한 음악소리 발을 맞춰서

                                               발놀림도 재빠르게 춤을 춰보자

                                               딱딱따다딱 따닥따닥 따다닥

                                               몸놀림도 가볍게 춤을춰보자

                                               딱딱따다닥 따닥따닥따다닥

                                               하나 둘 셋 넷 셋 넷 둘 둘

                                               천리 길도 한 걸음 불가능은 없다

                                               연습 또 연습 배운 것은 또 연습

                                               하나 둘 셋 넷 셋 넷 둘 둘

                                               연습 위에 또 연습 안 될 것이 없네

                                               보세요 여러분 안 될 것이 없죠

                                               툭탁 탁탁탁 다다닥 툭탁 톡탁탁

                                               따다따다따다닥 닥다닥다따다닥

 우이동 골짜기 
        ㅡ동해 김 철수ㅡ

우이동 북한산 올라서며
북한산 기슭이 보인다

진붉은 진달래 보며
지나간 추억 생각에
현제 시간을 밟는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남풍 사계절 지나
다시 찾아온 봄날
설레임 과 줄거움
만남과 이별을

밟으며 간다
한 발 한 발
풀잎을 행어 밟을까
조심 조심 발길을 옴긴다

 

'여행스케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촌전철역  (0) 2022.08.08
김삿갓 유적지  (1) 2022.08.05
등선폭포  (0) 2022.07.25
청남대  (0) 2022.07.21
동인천 무의도  (0) 20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