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 詩 시조

김유정문화촌

동해 갈매기 2022. 6. 9. 18:48

                                                     김유정 가정살이

                                                        109ㅡ김유정문학제    30년대 한국소설의 축복

 

 

 

 

 

 

 

                                                                       김 유 정 생가

 

                               김유정 생가는 김유정의 조카 김영수씨와 마을 주민의 증언

                               고증을 거쳐 2002년 복원됐다.

                               특히 조카 김 영수씨가 집의 구조와 크기등을 상세히 기억하

                               고 있어서 직접 평면도까지 그려 복원 하였다

 

 

 

                        

                                    자 구조로 집을짓고 기와집 골격에 초가를 얹은이유

                                    김유정의 생가는 그의 조부가 지었다 조부 김의찬은

                                    춘천 의병 봉기의 배후 인물로 재정 지원을 하였으며

                                    당시 이 마을 대부분의 땅이 그의 소유였다,

 

 

 

 

 

 

                                   

                                                 

                              중부 지방에서는 보기 힘든 ㅁ 자 형태로 집을 짓고

                              기와와 골격에 초가를 얹는 이유는 헐 벗고 못 먹는

                              사람들이 많던 시절이라 집의 내부를 보이지 않게

                              외부의 위협으로 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봉당의 굴뚝

 

                                    생가의 대문간을 들어오면 바로 왼쪽이 아궁이가있다

                                    이 아궁이에 불을 때면 사랑방 구들을 데우고 봉당의

                                    굴둑으로 연기가 나간다

 

                                                              

 

                                                   밥을 짓던 부엌의 굴뚝은 생가 뒤란에 따로있다

                                                   뒤란의 굴뚝높이 역시 낮게 하였는데 밥을 짓는

                                                   연기가 높이 올라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마을에 끼니를 거르는 집들에 대한 배려이다.

 

 

'운문 詩 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말꽃필무렵  (0) 2022.06.12
운당  (0) 2022.06.10
그리운금강산  (0) 2022.06.05
포천광릉  (0) 2022.06.01
그대가 그리운 날  (1)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