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 詩 시조

영조와 창경궁 [01]

동해 갈매기 2022. 6. 15. 11:34

                              영조와 창경궁 

                                                                   창경궁

                                  창경궁은 세종대왕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고자1418년

                                  에지은 수강군이 그전신이다. 이후 선종 임금대로와서

                                  세조의 비 정희왕후 덕종의 비 소혜왕후 예종의비 안순

                                  왕후를 모시기위해 명전전,문전전, 통명전을 지였다,

                                  본래 세종이 상왕으로 물어난 태종의 거처를 마련하기

                                  위해 지은 수강중이였다.그후1483년 수강궁 자리에

                                  별궁인 창경궁을 건립했다.

 

 

                                           궁궐은 나라 경영의 중추가 되는 소중한 장소이다.

                                           서울에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등 조선시대의 다섯 궁궐이 있다. 궁궐은 아니지만

                                           왕실의 사당인 종묘도 조선 왕조의 정신적 근간으로서

                                           궁궐 못지않게 중요시 되어싸. 이들 궁궐과 종묘는

                                           한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장소이기에,

                                           당대 최고의 규모와 기술로 지어졌다. 창덕궁과 종묘는

                                           전 세계가 주목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하루동안 창경궁을 1750년 [영조26년]으로 되돌려

                                                          왕의 일상과궁궐 사람들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왕의 궁

                                                          반정으로 광해를 폐위하고 왕위에오른 조선의

                                                          제16대 국왕 인조를 재조명하는 역사적 교훈을

                                                          담아냈다

 

 

 

 

                                            사적 제122호. 1405년(태종 5)에 이궁(離宮)으로 조성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7년(선조 40)부터

                                            다시 짓기 시작하여 1610년(광해군 2)에 완공되었다.

 

 

                                  그러나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인정전(仁政殿)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타 1647년에 다시 짓기 시작했다.

                                  그후에도 크고 작은 화재가 있었으며,

                                  특히 1833년(순조 33)의 큰 화재 때 대조전(大造殿)과

                                  희정당(熙政堂)이 불탔으나 곧 다시 중건되었다.

  

 

                                    1908년에 일본인들이 궁궐의 많은 부분을 변경했으며,

                                    1917년에 큰 불이 나자 일제는 불탄 전각들을

                                    복구한다는 명목 아래 경복궁의 수많은 전각들을 헐어내고는

                                    이 가운데 극히 적은 재목들을 사용하여 창덕궁을 변형·복구했다.

 

 

 

                                     이 궁궐은 창경궁과 이어져 있고, 뒤쪽에 후원이 조성되어 있다.

                                     조선시대의 정궁은 경복궁이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뒤 1867년에 복원되었기 때문에

                                     광해군 때부터 300여 년 간 정궁으로 사용되었다.

 

 

 

 

 

 

 

 

 

 

 

 

 

 

 

 

 

좋아요공감
공유하기
글 요소